티스토리 뷰
목차
출산 후 휴가를 받으면서도 회사에서 상여금을 받고 싶은 많은 직장인들의 고민, 과연 가능할까요?
복잡한 법적 규정 속에서 내 권리를 제대로 알고 싶은 여러분을 위해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출산휴가 급여의 법적 기본 원칙
법적 보장 범위
- 출산휴가 90일 중 최초 60일은 유급 (다태아의 경우 120일 중 75일 유급)
- 근로기준법 제74조에 명확히 규정됨
-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전액 지급 의무 발생
상여금 지급 기준( 통상임금 인정 조건)
통상임금으로 인정되는 경우
- 회사에서 상여금에 대한 특별한 지급 제한 기준이 없을 때
- 출산휴가 기간 동안 상여금 전액 지급
- 최초 60일(다태아 75일) 동안 보장
통상임금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
'재직자 규정' 존재 시
- 상여금 지급일 현재 근무자에게만 지급
- 대법원 2013년 전원합의체 판결로 이러한 규정의 효력 인정
출산휴가자에게 상여금 미지급 가능
최근 법률적 쟁점
* 출처 :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(2013.12.18) 보도자료
대법원 판례 변화
- 2013년 판례: 재직자 규정 효력 인정
- 2022년 새로운 판례: 특정 시점 재직자 규정의 효력에 의문 제기
- 현재 고용센터는 여전히 2013년 판례 기준 적용
고용보험과 출산휴가급여
우선지원대상기업의 경우(중소기업)
- 고용보험(고용센터)에서 출산휴가급여 지원
- 법률이 정한 상한액 한도 내에서 통상임금 지급
- 초과분은 여전히 사업주 지급 의무
일반 기업의 경우
- 고용보험 지원 없음
- 사업주가 통상임금 100% 전액 지급 의무
주의해야 할 사항
출산휴가 기간 급여 처리
- 최초 60일(다태아 75일): 유급
- 마지막 30일(다태아 45일): 무급 처리 가능
- 취업규칙, 단체협약에 따라 세부 내용 상이
실무적 대응 방법
권리 확인 절차
- 회사 취업규칙 및 단체협약 확인
- 인사부서와 상여금 지급 조건 직접 상담
- 필요시 노동부 또는 법률 전문가와 상담
출산휴가 중 상여금 수령은 복잡한 법적, 제도적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.
자신의 권리를 명확히 알고,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대비하세요.
당신의 경력과 가정, 모두를 소중히 여기는 현명한 선택이 필요합니다.
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
반응형
'각종 정책 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무 6개월 미만, 육아휴직급여 받을 수 있는 방법은? (3) | 2024.11.27 |
---|---|
이유 없이 언제든 해고될 수 있나요? 알아두면 좋은 법적 보호 제도 (4) | 2024.11.26 |
해고와 권고사직, 억울하지 않으려면 꼭 알아야 할 절차와 정당성 (3) | 2024.11.22 |
출산휴가 급여: 고용 센터에서 빠르게 받는 꿀팁 공개! (5) | 2024.11.21 |
휴직 중 임금이 오르면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도 오르나요? (2) | 2024.11.20 |